교수소개

부교수

하인혜
직책/직급
부교수
주전공
Long 18th-Century British Literature (1660-1830), Literature and Science, Women's Writing
담당과목
근대영소설, 영국문학사, 셰익스피어, 18세기 영문학, 근현대 영미시 등
전화번호
032-835-8121
이메일
inhyeha@inu.ac.kr
홈페이지
-
학력

2016.05.14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- Champaign  (박사)

2005.08.30 서울대학교  (석사)

2003.08.25 고려대학교  (학사)

경력

2018.03 ~ 2022.02 인천대학교 (조교수)

2016.09 ~ 2018.02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BK21플러스 사업단 (재직중) (박사후연구원)

연구실적
<논문> 

Disinterring, Entanglements, and the Undead in The Black Vampyre (1819), 근대영미소설 , 제32권(집) , 제1호 , PP.173~196 , 2025.04.30

Reckoning with the Unknowable: Ian McEwan’s Machines Like Me and the Melodramatic Speculation, 탈경계인문학Trans-Humanities , 제14권(집) , 제2호 , PP.137~158 , 2021.10.31

“일부러 틀리게 진심으로”:이치은의 소설에 재현된 로봇의 오작동과 확장된 친족 관계, 人文學硏究 , 제35권(집) , PP.65~90 , 2021.06.30

Managing Viral Information and Being at Risk in Defoe’s A Journal of the Plague Year, 18세기영문학 , 제18권(집) , 제1호 , PP.95~132 , 2021.05.31

Ad Singularitatem: Multiplicity, Commonplaced Selves, and Miscellanies in Siri Hustvedt’s The Blazing World, Contemporary Women's Writing , 제15권(집) , 제1호 , PP.52~71 , 2021.03.01

Our Nonhuman Story: The Posthuman Reality Imagined in Mary Shelley’s Frankenstein , 영어영문학 , 제65권(집) , 제1호 , PP.185~201 , 2019.04.05

The “Fellowship of Sense”: Anna Letitia Barbauld and Interspecies Community, Studies in Romanticism , 제57권(집) , 제3호 , PP.453~478 , 2018.11.30

‘열광’은 탄생하라: 헨리 필딩의 『여성 남편』에 재현된 열광의 발생과 정동적 신체 , 안과밖:영미문학연구 , 제45호 , PP.61~81 , 2018.11.15

동물과 함께, 식물과 더불어, 기계와 나란히: 18세기 영문학과 포스트휴머니즘, 안과밖:영미문학연구 , 제43호 , PP.221~241 , 2017.11.01

<저서> 

내가 내 이야기를 시작했을 때 여성의 자기 서사, 후마니타스 , 2023.12.18

남성 특권 - 여성혐오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, 오월의봄 , 2021.08.18

18세기의 방, 문학동네 , 2020.06.30

클라라 슈만 평전, 경북대출판부 , 2019.02.28